우편일반 > 제1편 국내우편 > 제 1장 총론 > 제1절 우편의 의의 및 사업의 특성 > 1.우편의 의의 >

학습 목표
'제1절 우편의 의의 및 사업의 특성'을(를) 깊이 이해하고, '1.우편의 의의'에 대한 개념을 명확히 익힌 후, 문제 풀이를 통해 학습 내용을 점검하고 암기력을 강화하자.
우체국 계리직 -우편일반 목차- 바로가기
레퍼런스
제 1편 국내우편
제 1장 총 론
제 1절 우편의 의의 및 사업의 특성
1. 우편의 의의
- 가. 좁은 의미: 우정사업본부가 책임지고 서신 등의 의사를 전달하는 문서나 통화 그 밖의 물건을 나라 안팎으로 보내는 업무
넓은 의미: 우편관서가 문서나 물품을 전달하거나 이에 덧붙여 제공하는 업무를 통틀어 이르는 말 - 나. 우편은 국민이 일상생활에서 평균적인 삶을 꾸릴 수 있도록 국가가 제공하는 기본적인 사회 서비스 가운데 하나. 이에 따라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많은 나라에서 의무적으로 보편적 우편 서비스를 제공할 것을 법령에 규정하고 있다.
- 다. 우편은 주요 통신수단의 하나로 정치ㆍ경제ㆍ사회ㆍ문화ㆍ행정 등의 모든 분야에서 정보를 전달하는 중추신경과 같은 임무를 수행한다.
- 라. 다만, 서신이나 물건 등의 실체를 전달한다는 점에서 전기적인 방법으로 정보를 전달하는 전기통신과는 구별된다.
연습 문제
- 우편의 좁은 의미는 무엇인가?
- 가) 나라 안팎으로 문서나 물품을 전달하는 업무
- 나) 우편관서의 모든 업무
- 다) 우정사업본부의 서비스 제공
- 라) 전기적 방법으로 정보를 전달하는 업무
- 마) 통신수단을 통한 정보 전달
- 우편의 넓은 의미는 어떻게 정의되나요?
- 가) 문서나 물품의 전달
- 나) 우편관서가 제공하는 모든 업무
- 다) 국민에게 제공되는 기본적인 사회 서비스
- 라) 전기통신을 포함한 정보 전달
- 마) 정치, 경제, 사회, 문화, 행정 분야의 정보 전달
- 우편 서비스는 왜 중요한가요?
- 가) 평균적인 삶을 꾸릴 수 있도록 국가가 제공하는 기본 서비스 중 하나이기 때문에
- 나) 정보를 전달하는 주요 수단이기 때문에
- 다) 모든 나라에서 법령에 의해 의무적으로 제공되기 때문에
- 라) 전기통신과 구별되는 실체 전달의 중요성 때문에
- 마) 우편관서가 다양한 추가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
- 우편은 어떤 분야에서 주로 사용되나요?
- 가) 정치, 경제, 사회, 문화, 행정
- 나) 전기통신
- 다) 우정사업본부 내부 커뮤니케이션
- 라) 오락 및 레저 활동
- 마) 국방 및 안보
- 우편과 전기통신의 주된 차이점은 무엇인가요?
- 가) 우편은 실체를 전달하지만 전기통신은 그렇지 않다.
- 나) 전기통신은 국가에 의해 제공되는 반면 우편은 그렇지 않다.
- 다) 우편은 정보를 전달하는 주요 수단이 아니다.
- 라) 전기통신은 오직 국내에서만 사용된다.
- 마) 우편은 오로지 문서 전달에만 사용된다.
정답 및 해설
- 1. 정답: 가) 나라 안팎으로 문서나 물품을 전달하는 업무
- 2. 정답: 나) 우편관서가 제공하는 모든 업무
- 3. 정답: 가) 평균적인 삶을 꾸릴 수 있도록 국가가 제공하는 기본 서비스 중 하나이기 때문에
- 4. 정답: 가) 정치, 경제, 사회, 문화, 행정
- 5. 정답: 가) 우편은 실체를 전달하지만 전기통신은 그렇지 않다.
해석: 우편의 좁은 의미는 우정사업본부가 책임지고 서신 등의 의사를 전달하는 문서나 통화 그 밖의 물건을 나라 안팎으로 보내는 업무를 말합니다.
해석: 우편의 넓은 의미는 우편관서가 문서나 물품을 전달하거나 이에 덧붙여 제공하는 업무를 통틀어 이르는 말입니다.
해석: 우편은 국민이 일상생활에서 평균적인 삶을 꾸릴 수 있도록 국가가 제공하는 기본적인 사회 서비스 중 하나입니다.
해석: 우편은 정치, 경제, 사회, 문화, 행정 등의 모든 분야에서 정보를 전달하는 중추적인 역할을 합니다.
해석: 우편은 서신이나 물건 등의 실체를 전달하는 반면, 전기통신은 전기적인 방법으로 정보를 전달합니다. 이는 두 통신 수단의 주요한 차이점입니다.